메뉴

닫기

quick

커뮤니티

home 커뮤니티 공지사항

공지사항

메뉴보기

우리말에도 통역이 필요하다

수련관 | 2002-01-24 | 조회수 : 9409
우리말에도 통역이 필요하다


(2002.01.22)




언어 공해로 불릴 정도로 심각한 통신 언어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화관광부가 2001년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간 한말연구학회(회장 김승곤)에 의뢰하여 인터넷 게시판이나 대화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신 언어를 조사·분석한 바에 따르면 언어 현실을 왜곡하는 새로운 말이 생겨나 우리말을 하면서도 통역이 없으면 의사 소통에 장애가 있는 등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 보고서의 특징은 ① 형태 정보 ② 통신 언어의 생성 유형 ③ 품사 ④ 뜻풀이 ⑤ 사용실태 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류·정리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정리는 통신 언어의 변천 과정과 향후 통신언어에 대한 개선 방안을 강구하는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생성 유형을 보면 형태변이, 새말, 의미전이, 통사변이 순으로 나타나

최근 사이버 공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 2,350개의 통신 언어를 분석한 결과 생성 유형은 크게 "형태변이", "의미전이", "새말", "통사변이"로 구별된다. 이를 빈도 순서로 분석해보면 아래와 같다.

① 원말을 소리나는 대로 적기나 현실 발음을 반영한 "형태변이" 형이 1,592개로 가장 많았다.

<보기> 10002 : 많이, P본다 : 피를 본다, 감솨 : 감사

② 기존의 말을 합성하거나 파생시켜 쓰는 "새말" 형이 253개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보기> 도배방(도배+방): 게시판에 연속적으로 글을 올리는 것

카페지기(카페+지기) : 가상 공간의 동호회를 운영하는 사람

③ 형태상의 변화는 없으나 새로운 환경에 따라 의미가 전이되어 사용되는 경우는 77개 였다.

<보기> 꼬리 : 다른 사람 게시판에 짧은 의견을 단다는 뜻

번개 : 갑자기 약속을 정하여 실제 만나는 일

줄서다 : 인터넷 게임에서 편을 가르다는 뜻

④ 형태와 의미는 변하지 않았으나 품사가 변하는 통사변이는 5개로 나타났다.

<보기> 님 : 접미사, 의존명사⇒ 2인칭 대명사(님들 소개점 해줘영~)

울(우리) : 명사, 관형사⇒ 관형사(울 여벙 욕 쟁이당)


▶ 생성 원인(이유) 및 방법의 다양화

초창기의 컴퓨터 통신 언어는 주로 대화방에서 빠른 입력을 위해 단순히 타수를 줄이는 차원에서 줄여 쓰거나 소리나는 대로 쓰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대화자 간의 친교 수단이나 화자의 태도를 현장감 있게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보기> ㅇ소리나는 대로 쓰기: 가쓸까(갔을까), 머시따(멋있다)

ㅇ줄여 쓰기: 어솨요(어서와요), 글쿤(그렇군)

ㅇ친교적인 어감 : 언니 따랑해요~, 이걸 찾았네영

ㅇ현장감 : 그럼 전 이만... 후다닥~ 1

그리고 통신 언어가 생성되는 과정을 말을 줄이거나 소리나는 대로 적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식이었으나 이번 조사에서 분석한 결과를 보면 말을 합성하거나 파생, 역파생, 어근창조 등 다양한 방식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기> ㅇ합 성 : 어근과 어근의 결합하는 방식

- 진실남(진실+남): 개인 정보를 솔직히 공개하는 남자

- 멜친구(메일+친구): 전자우편을 통해 사귀는 친구

ㅇ파 생 :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결합하는 방식

- 컴탱이(컴퓨터+탱이): 컴퓨터를 낮춰 부르는 말

- 리하이(리+하이): 다시 만났을 때 인사하는 말

ㅇ역파생 : 합성어에서 첫 음절을 따거나 앞말의 첫자와

뒷말의 뒷자를 결합하는 방식

- 강추(강력+추천), 비번(비밀+번호), 즐팅(즐겁다+채팅)

ㅇ어근창조 : 합성도 팡생도 아닌 새로운 말 창조

- 흥흥흥(웃는 소리), 케케케(웃는 소리)


또한 주목할 만한 것은 통신언어가 만들어질 때 아무렇게나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사실이다.

<보기> 고등학생 ⇒ 고등어 ⇒ 고딩어 ⇒ 고딩

초등학생 ⇒ 초딩

중학생 ⇒ 중딩어 ⇒ 중딩

대학생 ⇒ 대딩

직딩(직장인), 노딩(늙은 사람)


▶ 청소년층에서 청장년 층까지 빠른 속도로 확산

통신언어는 주로 청소년층들이 선호하는 의사소통 방식이긴 하지만 요즘에는 청장년 층까지 사용자 폭이 넓어졌고 짧은 기간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 빠른 확산은 우리말의 교착어적 특성과 생성 규칙 때문

통신언어가 이렇게 빨리 확산될 수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우리말이 교착어 적이라는 특성과 이를 표기하는데 유리한 개방적
첨부파일 | 첨부파일 없음

목록

| |
등록
※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는 댓글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